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수원시, 22개 역세권 '콤팩트시티'로 탈바꿈... "30조 경제효과 기대"

이재준 수원시장, 민선 8기 핵심 공약 '수원 대전환' 발표...3대 전략으로 도시 경쟁력 강화

 

뉴스팍 배상미 기자 | 이재준 수원시장이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수원 대전환'의 하나로 역세권 복합개발을 통해 도시 공간을 혁신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수원시 전철역 22곳을 중심으로 주거, 상업, 업무 기능이 어우러진 '콤팩트시티(압축도시)'를 조성해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17일 이 시장은 시청에서 열린 '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활성화 사업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며 "광역 철도망 구축 사업이 완료되면 수원시 내 전철역은 현재 14개에서 22개로 늘어난다"며 "확정된 22개 역세권에 복합개발을 추진해 새로운 도시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수원형 역세권'의 핵심 전략과 개발 유형

 

수원시가 밝힌 역세권 복합개발의 핵심은 용도 복합화, 기능 집적화, 기반 시설 확보다. 역세권에 업무,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을 한데 모으고, 시민들이 도보 15분 거리 안에서 모든 생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15분 도시'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복합개발은 역세권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추진된다.

 

* 도심복합형: 수원역, 수원시청역, 영통역 등 도심과 환승역세권을 중심으로 업무·상업 기능을 강화하고 품격 있는 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일자리형: 성균관대역, 광교원천역 등 대학교나 첨단 업무시설 예정지와 인접한 역세권을 중심으로 첨단산업단지 배후 거점으로 육성해 자족 기능을 강화한다.

 

* 생활밀착형: 고색역, 광교중앙역 등 노후 주거지가 많은 역세권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 기능과 생활 인프라를 확충한다.

 

 

9개 전략지구 우선 개발… 과감한 규제 완화로 민간 참여 유도

 

수원시는 전체 22개 역세권 중 고색역, 구운역, 북수원파장역, 성균관대역, 수원역, 수원월드컵경기장역, 수성중사거리역, 영통역, 장안구청역 등 9개 역세권을 '전략지구'로 선정하고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 9개 지구는 내년 상반기부터 사업이 시작되어 203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특히, 수원시는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과감한 규제 완화를 약속했다. 민간 참여의 걸림돌이었던 용도지역 및 용적률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하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사업자가 토지 가치의 15%에 해당하는 기반 시설을 기부채납하거나, 공공주택, 청년 임대주택 등 시 정책에 부합하는 시설을 확보하면 최대 300%까지 용적률을 상향할 계획이다.

 

이 시장은 "민간이 적극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발계획 수립, 전문가 컨설팅, 신속한 인허가 등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기대 효과는? "30조 경제 효과, 25만 명 고용 창출"

 

수원시는 역세권 복합개발이 완료되면 도심 개발 용지 140만 평을 확보하고, 약 3만 명의 인구 유입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7만 평 규모의 생활SOC가 공급되고, 도심 내 녹지 공간도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경제적 효과는 30조 원, 고용 효과는 25만 명으로 추산된다. 수원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고, 시민들이 삶의 질 향상을 체감할 수 있는 '살기 좋은 도시 수원'을 만들겠다는 포부다. 관련 조례는 이달 중 공포될 예정이다.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