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4.7℃
  • 구름많음서울 5.3℃
  • 맑음대전 3.3℃
  • 맑음대구 2.7℃
  • 맑음울산 5.6℃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7.8℃
  • 맑음고창 -0.6℃
  • 맑음제주 7.2℃
  • 구름많음강화 2.3℃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0.9℃
  • 맑음경주시 1.1℃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고양특례시의회 신현철 의원 ‘반려동물복지’마지막 순간까지 책임지는 고양시

반려동물 이별 문화 개선, 시민 맞춤형 이동식 장례서비스 필요

 

뉴스팍 배상미 기자 | 고양특례시의회 환경경제위원회 신현철 의원(송포동, 덕이동, 가좌동)은 제291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 발언을 통해 반려동물복지의 실질적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반려인구 1,500만 시대를 맞아,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에게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반려동물이 생을 마감했을 때 그에 따른 대처 방법이다.

 

현재 국내에는 과거에 비해 많은 반려동물 장례식장이 운영되고 있지만,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주로 외곽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장례비용 역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 많은 반려인이 경제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신 의원은 “반려동물의 사후 처리 문제는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공공의 건강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우리 시에서도 반려동물 사후 처리와 관련된 체계적인 제도나 대책은 미비하다”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민선 7기와 민선 8기에서는 반려동물 복지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으나 실질적이고 진정성 있는 행정이 실제로 이루어졌는지, 또 그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냉철하게 되돌아봐야 할 때”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신 의원은“현재 고양시도 단 한 곳의 반려동물 장묘시설만 운영되고 있어 많은 반려인들이 반려동물 사체를 종량제 봉투에 넣어 불법적으로 처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법적, 위생적 문제는 물론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결국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가족과의 마지막 이별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채, 보호자에게 또 다른 정신적 고통을 더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지적했다.

 

이에 신 의원은 ‘반려동물 이동식 장례서비스’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일본에서는 이미 90% 이상의 반려동물 장례가 이동식 화장 서비스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라며, “국내에서도 한 장묘업체가 ‘이동식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실증 특례’자격을 부여받아 현재 안산과 문경 두 지역에서 시범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동식 장례차량은 환경 보호를 고려한 특수 설계로 연기, 냄새, 소음을 차단하며, 6개월마다 대기 가스 검사를 통해 안전성과 환경 적합성을 점검받고 있다”라며, “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특히 고령자나 차량이 없는 가구 또는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신 의원은 “반려동물은 더 이상 단순한 애완동물이 아니라, 많은 시민들에게 정서적 안정과 깊은 유대감을 주는 소중한 가족 구성원으로 자리 잡았다”라며, “반려동물을 떠나보내는 과정에서 시민들이 겪는 경제적·정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고양시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고양시가 선제적으로 이동식 장례서비스를 도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도시’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며, “고양시가 한발 앞서 반려동물 복지 정책을 마련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선진적인 반려동물 문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시의 책임 있는 역할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고양시가 반려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행정을 펼쳐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포토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