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94854_dba461.jpg?iqs=0.9133793359359719)
뉴스팍 배상미 기자 | "시민 신뢰가 곧 의회 품격, 투명한 윤리로 답하겠습니다"
수원특례시의회 오혜숙 윤리특별위원장(국민의힘, 비례대표)이 홍재언론인협회 회원사와 만나 수원특례시의회가 나아가야 할 윤리·청렴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눴다. 오 위원장은 이번 인터뷰를 통해 "시민의 눈높이에서 신뢰받는 의회를 만드는 데 모든 힘을 다하겠다"는 굳은 포부를 밝혔다.
특히, 윤리특별위원회가 단순히 의원의 잘못을 심판하는 사후적 기구에 머물지 않고, 의회 전체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길잡이'이자 '나침반'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위원장은 윤리위원장으로서 가장 먼저 '공정성'과 '투명성'을 약속했다. 윤리특위의 결정이 한 의원 개인의 명예를 넘어 의회 전체의 신뢰와 직결되는 만큼, 어떠한 사적인 이해관계에도 흔들리지 않고 오직 시민의 입장에서 공정한 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단호히 말했다.
또한, 윤리 강화의 핵심 과제로 '예방 중심의 윤리 확립'을 꼽으며, "벌하는 윤리"에서 "함께 지켜가는 윤리"로 문화를 전환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했다. 의원들이 일상적인 의정활동 속에서 스스로 윤리 의식을 높이고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임기 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로는 윤리규범의 제도적 정비와 시민 참여형 신뢰 회복 시스템 구축을 제시했다. 시대적 요구에 맞게 윤리강령과 행동강령 등 내부 규범을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명확한 행동 기준을 제시하고, 회의록 공개 및 결과 보고 체계 강화를 통해 시민과의 소통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오 위원장은 최근 높아진 지방의회 윤리성 강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수원특례시의회가 마련 중인 제도적 장치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했다. 「수원시의회 의원 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 조례」와 「행동강령 조례」를 통해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했으며, 나아가 의원 스스로 의정활동과 이해충돌 여부를 점검하는 '의원 윤리평가 시스템 객관화' 방안을 검토하여 책임성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오 위원장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지방의원상'은 시민의 삶 가까이에서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 정책으로 반영하는 '생활정치인'이다. 오 위원장은 이러한 이상에 다가가기 위해 투명성, 현장 중심성, 전문성, 겸손이라는 네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의정활동에 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오 위원장은 "윤리와 청렴은 의회의 존재 이유이자 시민과의 약속"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의견 개진이 의회를 더욱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기관으로 만드는 가장 강력한 힘이라고 말했다.
오 위원장의 진솔한 답변은 수원특례시의회가 시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층 더 높은 품격을 갖춘 의회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84728_ea2028.jpg?iqs=0.6785311104179285)
다음은 수원특례시의회 오혜숙 윤리특별위원장 나눈 일문 일답이다.
Q.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소감과 가장 먼저 다짐 하신 점은 무엇인가요?
시민 여러분께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수원특례시의회가 시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바로 서려면 윤리성과 청렴함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합니다.
저는 윤리특별위원회가 단순히 의원들의 잘잘못을 가리는 기구를 넘어, 의회 전체가 올바른 길을 가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원장 자리는 개인적인 영광이 아니라, 시민들 앞에서 더 큰 책무를 떠안게 된 것이기에 매우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제가 가장 먼저 다짐한 것은 '공정성'과 '투명성'입니다. 윤리특별위원회의 결정은 의원 개인의 명예를 넘어 의회 전체의 신뢰와 직결됩니다. 따라서 어떠한 이해관계에도 흔들리지 않고 오직 시민의 눈높이에서 공정한 판단을 내리겠습니다.
또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후적으로 징계만 논의하는 것이 아닌, '예방 중심의 윤리 확립'을 다짐합니다. 의원들이 일상적인 의정활동 속에서 스스로 윤리 의식을 높여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시민들께서 '수원시의회가 달라졌다'고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겠습니다. 투명한 회의 운영과 공정한 심사 절차를 통해 의회의 신뢰도를 높이고, 윤리특위가 단순히 징계 기구가 아닌 올바른 의정활동을 돕는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시민 앞에 부끄럽지 않은 윤리특별위원장으로서 신뢰받는 수원특례시의회를 만드는 데 제 임기 동안 모든 힘을 다하겠습니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4452_e21fc3.jpg?iqs=0.279365342469734)
Q. 위원장으로서 임기동안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과제나 방향은 무엇입니까?
제가 위원장으로서 임기 동안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윤리규범의 제도적 정비를 통해 의회의 기강을 바로 세우는 것이고, 둘째는 시민 참여형 신뢰 회복 시스템을 구축하여 의회가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우선, 윤리특별위원회는 단순한 징계 기구 그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의원들이 의정활동 과정에서 지켜야 할 원칙과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를 현실에 맞게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변하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수원시의회의 윤리규범을 점검하고 개정하는 과정을 추진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의원들이 따라야 할 분명한 행동 기준을 제시하고, '벌하는 윤리'가 아닌 '함께 지켜가는 윤리' 문화를 조성하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시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한 투명한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의회의 윤리 문제는 결국 시민의 신뢰와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시민들께서 "의회가 스스로를 제대로 관리하고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의회의 논의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회의록 공개를 확대하며 결과 보고 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의회가 가진 민주적 정당성을 더욱 확고히 하고자 합니다.
결국 제가 추구하는 방향은 명확합니다. 윤리특별위원회가 징계 기구를 넘어, 의회 전체가 시민 신뢰 속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전략적 파트너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의회의 품격을 높이고, 시민들께 "수원시의회가 달라졌다"는 믿음과 자부심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51326_a5f412.jpg?iqs=0.20569824050560392)
Q. 윤리특별위원회의 주요 역할과 기능에 대해 시민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다면?
윤리특별위원회의 역할은 한마디로 ‘의회의 양심이자 나침반’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지도 없이 길을 나설 수 없듯이, 의회가 시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올바르게 서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준과 원칙이 필요합니다. 바로 그 기준과 원칙을 지키도록 이끌고 감시하는 역할이 윤리특별위원회에 있습니다.
저희의 주요 역할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의원들의 윤리 기준을 관리하고 심사하는 기능입니다.
의원은 단순한 직업인이 아닌, 시민을 대표하는 공직자로서 법률을 넘어선 높은 도덕적 책임을 집니다. 만약 의원이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언행이나 행위를 할 경우, 저희는 이를 철저히 심사하고 필요시 징계까지 결정하여 의회의 품위를 지킵니다.
둘째, 문제가 생기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기능입니다.
저희의 역할이 징계에만 국한된다면 이미 늦은 것입니다. 문제가 터진 뒤 처벌하는 것보다 애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의원들이 스스로 경계하고 윤리 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의원 행동강령이나 윤리규범을 현실에 맞게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의원들의 윤리 의식을 제고합니다.
셋째, 시민과 의회를 잇는 ‘신뢰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
시민들이 의회를 바라볼 때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과연 이 사람들이 청렴하고 책임 있게 행동하는가’입니다. 윤리특별위원회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기능할 때, 시민들은 비로소 의회가 진정으로 자신들을 대표할 자격이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결국 시민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저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자 존재 이유입니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58683_830fd4.jpg?iqs=0.3224516889015464)
Q. 최근 지방의회에서 의원 윤리성 강화 요구가 커지 있습니다. 수원특례시의회 윤리특위는 어떤 제도적 장치를 마련 강화하고 있나요?
의원 한 사람의 윤리 문제가 의회 전체의 신뢰로 이어지기에 이를 바로잡고 예방하는 제도적 장치를 확실히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엄격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의정활동 중 지켜야 할 최소한의 원칙을 넘어, 시민이 기대하는 높은 도덕적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수원시의회 의원 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 조례」와 「수원시의회 의원 행동강령에 관한 조례」를 통해 구체적인 기준을 명확히 규정했습니다. 이는 품위유지, 청렴 의무, 직권남용 금지 등 의원 스스로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또한, 단순히 법규를 암기하는 수준을 넘어, 의원들이 시민 눈높이에 맞는 행동규범을 몸소 체득할 수 있도록 사례 중심의 교육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의원이 회의장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의정활동 속에서도 품위와 책임감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아울러 윤리특별위원회가 단순히 징계 기구로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의원들이 자발적으로 신뢰받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플랫폼'이 되어야 합니다. 앞으로도 '엄정한 기준'과 '시민 중심의 운영 원칙'을 바탕으로 수원특례시의회가 더욱 투명하고 신뢰받는 기관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35331_e93b39.jpg?iqs=0.8492769301257129)
Q. 현재 수원특례시의회가 직면한 윤리 관련 현안이나 개선이시급하다고 보는 제도는 무엇이고, 의원 행동강령 준수와청렴도를 높이기 위해 구체적으로 검토중인 방안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수원특례시의회가 직면한 윤리 관련 현안 중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의원 스스로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책임 강화 장치가 아직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시민들께서는 의회의 의정활동이 과연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시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하고 있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보십니다. 하지만 현재는 의원의 활동이나 윤리적 태도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엄중하게 책임을 묻는 제도가 미흡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규정을 갖추는 차원을 넘어 '의원 윤리평가 시스템'을 객관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는 의원 본인이 매년 자신의 의정활동과 이해충돌 여부를 스스로 점검하고 제출하게 함으로써, 책임성과 자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의원들이 자신을 되돌아보고, 더욱 책임감 있는 의정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결국 저희가 지향하는 방향은 ‘감시와 처벌’에만 머무는 것이 아닙니다. 의원 스스로가 청렴한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을 통해 의원 개개인의 윤리 의식이 자연스럽게 높아지고, 나아가 수원시의회 전체가 시민들께 더욱 신뢰받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4076725_31de33.jpg?iqs=0.06216671550374886)
Q. 위원장님께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지방의원상(像)’은 어떤 모습이며, 지방의원의 품격과 전문성을 동시에높이기 위해 개인적으로 실천하는 의정활동 원칙이 있다면요?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지방의원상은 시민들의 삶 가까이에서 그들의 작은 목소리를 정책과 제도로 반영하는 ‘생활정치인’입니다. 지방의원은 시민들이 매일 체감하는 생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도로, 횡단보도, 작은 공원, 복지시설 등 주민 삶의 질에 직접 연결되는 문제에 귀 기울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의원은 단순히 열심히 하는 것을 넘어, 시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전문성과 정책 역량을 반드시 갖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예산 심의 시 시민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세밀하게 분석하고, 조례를 만들 때는 법적 타당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의원이 전문성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때 비로소 이상적인 의원상에 가까워진다고 생각합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이상에 다가가기 위해 몇 가지 원칙을 늘 지키려 노력합니다. 첫째, ‘투명성’입니다. 모든 의정활동은 시민을 대신해서 하는 일이므로, 시민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현장 중심성’입니다. 책상 위에서만 정책을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을 직접 찾아가 주민들과 만나고 현안의 실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칩니다. 셋째, ‘전문성 축적’입니다. 의정활동에서 다루는 주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 사안에 대한 공부와 연구를 필수 의무로 여깁니다.
마지막으로, 의원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품격은 '겸손’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그 속에서 의정의 방향을 찾아가는 태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초심을 잃지 않고 이 원칙들을 지키며 시민이 바라는 의원상에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인터뷰] 오혜숙 수원특례시의회 윤리위원장, "시민 신뢰가 곧 의회의 품격, 예방 중심 윤리로 답하겠습니다"](http://www.newspak.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6925174003_50b2dc.jpg?iqs=0.7504001338662489)
Q. 수원특례시의회가 나아가야 할 윤리 청렴 방향에 대한 비전과 시민들께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수원특례시의회가 나아가야 할 윤리·청렴의 방향은 한마디로 ‘투명성과 책임성 위에 신뢰를 쌓는 의회’입니다. 윤리와 청렴은 의회의 존재 이유이자 시민과의 약속이며, 의원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동이 곧 의회 전체의 신뢰로 직결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윤리와 청렴을 단순히 규칙을 지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시민과의 신뢰를 형성하는 능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규정과 행동강령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모든 의정활동을 시민 눈높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고 소통하는 것을 핵심 비전으로 삼겠습니다. 이러한 꾸준한 노력이 쌓일 때 비로소 수원특례시의회의 품격과 위상이 함께 높아질 것입니다.
저희 윤리특별위원회는 앞으로 제도적 강화와 문화 정착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입니다. 제도적으로는 의원 행동강령, 윤리 심사 및 징계 절차, 이해충돌 방지 장치 등을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모든 과정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운영할 것입니다. 동시에 문화적으로는 의원 스스로 윤리적 기준을 생활화하고 청렴을 실천하는 '모범 사례'를 만들어가는 분위기를 조성하겠습니다.
시민 여러분께 꼭 드리고 싶은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의회는 단순히 정책을 결정하는 기관이 아니라, 시민 여러분의 신뢰를 바탕으로 존재합니다. 윤리 강화 노력은 결국 시민 여러분의 권익을 위한 것이며, 여러분의 목소리가 곧 의회의 기준이 됩니다.
그러니 단순히 지켜만 보시지 말고, 의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의견을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시민 여러분의 참여와 관심이 의회를 더욱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기관으로 만드는 가장 강력한 힘이 됩니다.
저희는 이러한 비전과 원칙을 바탕으로, 시민 여러분과 함께 성장하는 의회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의회의 신뢰와 청렴은 결코 한 사람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원과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의 가치라고 믿습니다.